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70% 아래로… 32개월만에 최저치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70% 아래로 떨어져.
32개월만에 최저치 기록, 월세 비중도 30% 이하로..

최근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시장이 심상치 않습니다. 멈출지 모르고 상승하던 아파트 전월세 시장이 주춤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5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2월 주택통계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평균 68.5% 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15년 5월 기록했던 68.6% 이후 약 2년 8개월만의 최저치입니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2016년 6월 역대 최고치인 75.1% 를 찍은 이후, 조금씩 감소하다 약 1년 7개월여 만인 지난 1월 69.3%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70% 선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추이

2016년 6월 서울 75.1% / 전국 75.4%
2016년 10월 서울 73.7% / 전국 75.4%
2017년 2월 서울 73.2% / 전국 75.7%
2017년 6월 서울 72.4% / 전국 75.5%
2017년 10월 서울 70.9% / 전국 74.9%
2018년 2월 서울 68.5% / 전국 74.1%

자료 : 국민은행 제공

서울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상승세가 다소 주춤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상승하고 있는 반면, 전세 가격은 지난달 중순부터 하락세를 보이면서 전세가율이 낮아지는 것입니다.

갭투자자들이 전세를 많이 내놓고, 수도권 지역 전반적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의 입주물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그리고 최근 집값 상승에 편승하여 전월세 대신 매매로 돌아선 수요층으로 인해 전세값이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내에서도 집값이 가장 비싼 축에 속하는 강남구는 53.3%로 서울 25개구 중 가장 낮은 전세가율을 보였으며, 그뒤를 이어 서초구 55.9%, 용산구 56.7%, 송파구 57.6% 를 기록하였습니다.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손꼽히는 강남 3구와 용산구의 전세가율은 이처럼 60%에도 미치지 못하였습니다.

전세 시장 뿐만 아니라 월세 시장도 약세를 보였습니다. 한 때, 전월세 시장 중 40% 가까이 치솟았던 월세 비중도 29.5%에 그쳤습니다. 지난 2월 기준 서울 전월세 아파트 거래건수는 1만 7,583건이었으며, 이 중 5,189건이 월세 거래였습니다. 작년 3월 월세 비율이 35.7%였던 것에 비해 올해 2월은 약 6% 가량 감소한 수치입니다.

작년 중순부터 쏟아지는 각종 부동산 규제와 올해 4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인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정책 시행을 앞두고 있어 아파트의 매매, 전월세 시장은 당분한 불안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처럼 전세값이 계속 하락세를 면치 못할 경우, 역전세난이 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갭투자들에게 큰 위험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 보고 있습니다.



LNG 송도 저장탱크, 기둥 균열 등 무더기 결함 발견

인천 송도에 위치한 액화천연가스(LNG) 저장탱크 곳곳에 결함이 발견되면서 주변 주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더불어 민주당 이훈 의원이 한국가스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2016년 동안 송도 LNG 저장탱크 점검한 결과, 185건에 달하는 결함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함 중 98%(181건)는 저장 탱크를 받쳐주는 기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는 기둥 균열 140건, 박리 9건, 박락 21건, 바닥슬래브 박락 3건, 재료분리 5건, 열화 2건, 철근노출 1건으로 확인됐다.

이중 기둥 균열 140건 중 65건은 허용 균열폭 0.3mm 미만을 초과했다. 나머지 75건은 허용된 수치를 넘기지 않았지만, 현 상태로 방치할 경우, 더 심각한 문제로 커질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기둥 균열 문제는 최대 270톤에 달하는 저장 탱크의 하중을 받치고 있기 때문에 균열 및 박락 등의 결함을 계속 유지할 경우, 균열 면을 통해 해풍 등이 유입되 내부 철근 부식, 받침기둥 단면 감소 등의 파손으로 인해 시설 붕괴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의원의 의견이다.

뿐만아니라 한국가스공사는 이러한 결함을 사전에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축소, 은폐하려고한 정황까지 드러나 파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2014년 한국가스공사는 저장탱크 정밀검사에서 기둥 균열 문제를 상당 수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고서에서 누락시킨 후, 균열 문제에 이상이 없다고 발표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2016년 감사에서는 시설에 대한 일상 점검 또한 제대로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도 소홀했음이 드러났다.



송도에는 10만kL 10기, 14만kL 2기, 20만kL 8기, 총 20기의 저장탱크가 있다. 이 훈 의원은 ‘LNG 저장탱크는 1급 기밀시설로 그 어떤 시설보다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데 현실은 허점투성이 기둥으로 1급 시설을 떠받치는 형국”이라며 “(공사는) 탱크 시설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유지·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 것’ 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점검 과정에서 무책임한 태도를 보인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사고 등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안전 사고는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 한국가스공사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 1급 기밀 시설 보호를 위해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고, 지속적이고 철저한 시설 점검 및 관리를 하여 인근 주민들 뿐만 아니라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켜주기를 바라는 바이다.